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주 4.3 사건, 잊혀진 비극을 마주하다

by 뉴리치아빠 2025. 4. 12.
반응형

1. 제주 4.3 사건이란?

제주 4.3 사건은 1948년 4월 3일, 제주도에서 발생한 남한 단독정부 수립 반대 시위를 시작으로 무려 7년간(1947~1954) 이어진 비극적인 국가폭력 사건입니다. 단순한 폭동이나 반란이 아니라, 이념 대립과 냉전의 피해를 고스란히 제주도민들이 겪은 참극으로 평가받습니다.


2. 왜 제주에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당시 제주도는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좌익세력과 무장세력이 강세를 보였고, 1947년 3.1절 발포 사건 이후 민심이 극단적으로 악화되었습니다. 미군정 하에서 시작된 경찰과 서북청년단의 강경 진압, 그리고 1948년 5.10 단독선거에 반대하는 시위와 무장봉기가 확산되면서 본격적인 군사 작전이 시작됐습니다.


3. 수형인과 민간인 학살, 그 참혹한 진실

4.3 사건은 단순한 시위 진압을 넘어 무차별적인 민간인 학살로 이어졌습니다. 군·경은 무장대와 협조했다는 이유만으로 수천 명의 민간인을 처형했고, 특히 수형인으로 잡힌 이들까지도 재판 없이 대량 학살당한 사례가 속속 드러났습니다.

예컨대, 1949년 7월 대정형무소에서 수형인 249명이 한날한시에 총살당한 사건은 제주 4.3의 잔혹함을 여실히 보여줍니다. 그중 다수는 정식 재판조차 없이 '예비검속자'나 '혐의자'라는 이름으로 억울한 죽음을 맞이했습니다.

 

* 수형인은 형법에 규정된 형을 받은 사람을 말합니다.


4. 국가의 공식 사과와 진상규명

2000년대에 들어서야 국가 차원의 진상조사와 명예 회복이 시작됐습니다.
2003년 노무현 대통령은 공식 사과했고, 2021년에는 제주 4.3 특별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수형인에 대한 재심 및 보상의 길이 열렸습니다. 일부 피해자는 무죄 판결을 받고, 억울한 수형인들의 명예가 회복되고 있습니다.


5. 제주 4.3 평화공원을 찾아서

현재 제주도 봉개동에는 4.3 평화공원과 기념관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희생자들의 기록, 유가족의 증언, 당시 상황을 재현한 자료들을 통해 누구나 쉽게 4.3 사건의 진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4월 3일이면 전국에서 추념식이 열리며, 역사를 기억하고 다짐하는 자리가 마련됩니다.


6. 우리가 기억해야 할 이유

제주 4.3 사건은 단순한 과거사가 아닙니다. 국가권력의 이름 아래 벌어진 폭력, 말할 수 없었던 억울함, 그리고 오랜 세월 침묵 속에 묻혀야 했던 진실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도 깊은 울림을 줍니다.
이제는 더 이상 잊지 않고, 역사를 바로 기억하고 기록하는 일이 중요합니다.


7. 함께 볼만한 역사 콘텐츠

  • 영화: 《지슬》 (제주 4.3 사건을 다룬 대표작)
  • 도서: 《4.3은 말한다》, 《숨결로 쓰는 역사》
  • 전시: 제주4.3평화기념관 특별전
  • 팟캐스트: MBC <다시, 4.3>

FAQ

Q1. 제주 4.3 사건의 사망자는 얼마나 되나요?
A. 공식 통계에 따르면 3만여 명이 희생되었으며, 이 중 대부분이 민간인이었습니다.

Q2. 왜 이 사건은 오랫동안 알려지지 않았나요?
A. 군사정권 하에서 금기시된 주제였고, 유족들도 '빨갱이' 낙인이 두려워 침묵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반응형